본문 바로가기

책친구667

로마인 이야기 4 2012_019_로마인 이야기 4 : 율리우스 카이사르 / 시오노 나나미 저 / 김석희 역 / 한길사 / 1996년 03월 01일 / 2012.11.27 로마는 건국 초기부터 공화정 체제를 발전시켜 나아갔다. 그리하여 그들이 점령하여 만든 속국, 식민지에도 그들의 정치체제를 확대 운영한다. 그들은 원로원과 민회 두 가지.. 2012. 11. 30.
로마인 이야기 3 2012_019_로마인 이야기 3 : 승자의 혼미 / 시오노 나나미 저 / 김석희 역 / 한길사 / 1995년 11월 01일 / 2012.11.3 2권에서 로마가 포에니 전쟁을 통하여 지중해를 지배하는 패권국가가 되어가는 과정을 그렸다면 3권은 더 이상 외부의 적이 아닌 내부의 적과 싸우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내부의 적.. 2012. 11. 19.
로마인 이야기 2 2012_018_로마인 이야기 2 : 한니발 전쟁 / 시오노 나나미 저 / 김석희 역 / 한길사 / 1995년 09월 01일 / 2012.10.21 2권은 흔히 한니발 전쟁으로 알려진 시기에 대한 이야기다. 한니발이라는 사람이 있었고, 알프스 산맥을 넘어서 로마를 침공했다는 이야기는 들은 적이 있어서, 나는 그가 중부 또는.. 2012. 10. 21.
로마인 이야기 1 2012_017_로마인 이야기 1 : 로마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 시오노 나나미 저 / 김석희 역 / 한길사 / 1995년 09월 01일 / 2012.10.12 장편 소설을 읽기 위해서는 약간의 용기 필요하다. 그리고 그것이 삼국지와 같이 10권이 넘어가는 경우에는 더욱 더 큰 용기가 필요하다. 이 책은 1990년대 .. 2012. 10. 19.
그림으로 보는 십자군 이야기 2012_017_그림으로 보는 십자군 이야기/ 시오노 나나미 저 / 귀스타브 도레 그림 / 송태욱 역 / 문학동네 / 원제 : 會で見る十字軍物語 / 2011년 07월 07일 / 2012.10.06 아이들이 아빠에게 십자군 전쟁이 언제 있었느냐고 물어보면, 대답하기 참 어려웠다. 대충 유럽의 중세 시대인건 알겠는데, 1200.. 2012. 10. 9.
글 쓰기 훈련소 2012_016_글쓰기 훈련소 / 임정섭 / 경향미디어 / 2009년 11월 30일 / 2012.10.03 아내가 묻는다. 독후감 쓰느냐고.... 처음에는 독후감을 쓰고 싶어서 시작했다. 하지만 지금은 아니다. 읽은 책을 스크랩하기도 하고, 다른 사람의 서평을 옮기기도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어느새 책의 내용보다는 .. 2012. 10. 3.
책은 도끼다. 2012_015_책은 도끼다 / 박웅현 / 북하우스 / 2011년 10월 10일 / 2012.09.30 외근 나가는 길에 잠깐시간을 내어 서점에 들렀다. 그 서점은 베스트 셀러와 신간을 한 쪽에 각 10권씩 소개하는 코너가 있다. 이 책은 거기에서 발견했다. 책 제목이 도발적이어서 눈에 띄었나 싶다. 저자가 읽은 책들에.. 2012. 10. 3.
문학의 숲을 거닐다. 2012_014_문학의 숲을 거닐다 / 장영희 / 샘터 / 2005년 03월 10일 / 2012.09.09 오랜만에 접하는 에세이다.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에세이를 읽고 싶어졌다. 어제, 도서관에 가서 책을 빌려볼까 어쩔까 하다가, 서점에 들렀다. 서점에서 이리 저리 간단하게 읽을 만한 책을 고르다가 저쪽 한 귀퉁이에.. 2012. 9. 10.
굿 보스 배드 보스 2012_013_굿 보스 베드 보스 / 로버트I.서튼 저 / 배현 역 / 모멘텀(momentum) / 원제 : Good Boss Bad Boss / 283쪽 / 2011년 06월 05일 / 2012. 08.25 전임 사장님께서 사서 나누어 주신 책이다. 나름 GWP를 지향 하시면서, 팀장들에게 팀장의 역할에대해서 고민 해보라고 나누어 주신 책이다. 그러나, 초반부에 .. 2012. 9. 6.
지식경제학의 미스터리 2012_012_지식경제학의 미스터리 / 데이비드 워시 저 / 김민주,송희령 공역 / 김영사 / 2008년 05월 / 2012. 08. 11 두꺼운 책은 인내를 요구 한다. 거기다가 생소한 지식은 더더욱 더 많은 인내를 요구한다. 이 책은 그런 경우다. 제목을 봐서는 지식경제학이라고 하는 부분에서 "지식경제"에 초점.. 2012. 8.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