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친구667 초한지 9 : 오강에 지다 2021_16 이문열의 사기 이야기, 초한지 9 : 오강에 지다 / 이문열 / 민음사 / 2008년 01월 02일 / 2021.09.12 드디어 천하를 통일하는 유방과 단 한번의 패전으로 시대를 마감하는 항우. 익히 들어오던 사자성어 중 사면초가四面楚歌, 유명한 경극 중국 중 하나인 패왕별희가 여기에 등장한다. 항우를 쫓던 연합군(?)은 포위망만 유지한 채 적극적인 전투를 피한다. 요샛말로 항우와 맞짱 떠서는 승산이 없다고 판단 했을 듯. 한 연합군은 사방에서 초나라 노래를 불러 초나라 병사들의 향수를 자극하고 사기를 떨어뜨려 몰래 빠져 나와 항복하게 만든다. 상황을 파악한 패왕은 우희를 부르고 마지막 연회(?)를 장수들과 함께 하는데, 우희 또한 상황을 파악하고 있어서 춤을 추고 나서 패왕에게 부담을 .. 2021. 9. 13. 초한지 8 : 밝아오는 한의 동녘 2021_15 이문열의 사기 이야기, 초한지 8 : 밝아오는 한의 동녘 / 이문열 / 민음사 / 2008년 01월 02일 / 2021.08.27 항우는 전투에는 능하지만 전쟁에는 다소 고개를 갸웃거릴만하다. 유방은 항우에게 쫓겨갔다가, 추적이 느슨해지면 다시 슬금슬금 중원으로 나온다. 유방에게는 그의 대의명분을 따르는 유생과 장수, 제후들이 계속 나타나고, 유방은 그들에게 알게 모르게 자율권을 부여한다. 하지만, 항우에게는 상대방을 궤멸시켜버리는 잔인함에 때문에 새로이 그를 따르는 인재는 나타나지 않고, 유방의 대의명분도 그에게는 약점이 되어 돌아온다. 독단적으로 동물적인 감각으로 많은 전투에서 승리한 탓에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를 주의 깊게 듣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들이 시나브로 유방에게 유리한 국면을 .. 2021. 8. 31. 초한지 7 : 뒤집히는 대세 2021_14 이문열의 사기 이야기, 초한지 7 : 뒤집히는 대세 / 이문열 / 민음사 / 2008년 01월 02일 / 2021.08.22 형양성과 성고를 두고 유방과 항우는 일진일퇴를 하는데, 글쎄, 항우가 쫓으면 유방은 도망가고, 항우가 물러나면 다시 나온다. 항우가 한 곳을 집중하면 유방은 항우의 배후를 흔들고, 항우가 온 사방을 헤집으면 숨어든다. 8권에서 말하는 내용이기는 하지만, 항우는 오로지 항우 혼자서 전국(戰國)을 누비고 지휘를 한고 유방은 느슨한 연합의 형태로 각 장수의 자율적인 판단으로 치고 빠지고 한다. 유방은 파-촉에서 나올 때 대의명분을 가졌고, 항복한 장수와 병사는 함부로 죽이지 않았다. 항우는 상대방을 궤멸시켜 재기 불능한 상태로 만드는 전략을 가졌는데, 결과적으로는 이래 죽.. 2021. 8. 24. 초한지 6 : 동트기 전 2021_13 이문열의 사기 이야기, 초한지 6 : 동트기 전 / 이문열 / 민음사 / 2008년 01월 02일 / 2021.08.16 팽성을 유방에게 빼앗긴 항우는 제나라와 조나라 등 북동지역의 전쟁에서 급하게 내려온다. 유방은 대군이라고는 하지만, 느슨한 연합군 형태여서 군명이 제대로 서지 않는 상황이었고 팽성까지 오는 과정 또한 큰 전투와 곤란한 일이 없어 자신의 분수를 모른 채 기고만장한 상태였다. 그러던 차에 항우가 돌격대 형태로 돌아오니 맞붙은 연합군은 온 사방으로 흩어지고, 군사의 수만 밑도 기고만장하여 여유 있게 대처하다가 각각의 전투에서 궤멸 지경에 빠진다. 겨우 몸만 추려 전장을 탈출하는 유방의 일화와 항우의 돌격전에 크게 패하는 전투 이야기가 흥미진진하다. 팽성을 탈출한 유방은 근거지.. 2021. 8. 17. 초한지 5 : 흙 먼지 말아 올리며 다시 오다 2021_12 이문열의 사기 이야기, 초한지 5 : 흙먼지 말아 올리며 다시 오다 / 이문열 / 민음사 / 2008년 01월 02일 / 2021.08.04 “엉망진창이다”는 말이 있다. 전해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유방이 한중에서 나올 때, 항우를 속이기 위하여 기존의 험한 계곡에 있던 잔도를 통하지 않고 크게 돌아 나올 때 진창이라는 지역을 지게 된다. 그 때 날씨가 워낙 궂어 비가 많이 오고 길은 말 젖어서 걷기 힘들 정도로 질었다고 한다. 이 때 만들어진 말이 “진창”이라고 한다. 책을 읽으며 고사와 관련된 이야기가 나오면 지식을 한쪽 더 채우는 느낌이 든다. 5권은, 한중으로 밀려난 유방이 다시 중원으로 나와서 항우가 제나라와 전쟁을 하는 사이에 팽성에 진입하지만, 항우가 다시 팽성을 되찾는 이야기로.. 2021. 8. 10. 초한지 4 : 서초패왕 2021_11 이문열의 사기 이야기, 초한지 4 : 서초패왕 / 이문열 / 민음사 / 2008년 01월 02일 / 2021.07.31 솔직하게 중국의 지리를 잘 몰라서 감이 별로 없다. 그래서 오늘에야 인터넷에 도는 당시의 지도를 찾아 보았다. 그래도 궁금한 거는, 옛날에 조선시대에 과거시험을 보러 갈 때에 경남에서 한양까지 걸어서 1주일 정도 (길면 한 달이 걸렸다고도 하지만) 걸렸다고 하는데, 중국에서는 그 넓을 땅덩어리를 수십만명의 군사를 이끌고 한달이 멀다하고 여기서 저기로 거기로 움직이는 게 과연 가능이나 했을까 싶다. 진나라 환관은 자기의 치부가 드러나자 2세 황제를 죽이고 새로운 "바지"황제를 앉히고, 항우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게임을 하듯 성을 하나 하나 격파하면서 서진하고, 유방의 군대는 .. 2021. 8. 2. 에이트 2021_10 에이트 : 인공지능에게 대체되지 않는 나를 만드는 법 / 이지성 / 차이정원 / 2019년 10월 21일 / 2021.07.20 저자는 AI 시대에 AI에게 지배당하지 않는 삶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싶었으리라. 제목과 책의 내용 사이에 무언가 Align이 되지 않는 느낌을 받았다. 저자는 AI에게 대체 되지 않는 나를 만들기 위한 8가지 방법을 3장에서 제시한다. 에이트는 그 8가지 방법(?)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AI를 이기기 위해서는 AI에 대해서 공부를 많이 해야 할 것 같은데, 첫 번째 제안은 뜻 밖에도 디지털 기기를 멀리 하라고 한다. 그러면서 실리콘 밸리의 가정과 기업에는 IT 기기가 없다는 다소 믿을 수 없는 주장을 한다. 그가 디지털 기기를 멀리하라는 건, 우리가 현재 .. 2021. 7. 26. 초한지 3 : 칼과 영광 2021_09 이문열의 사기 이야기, 초한지 3 : 칼과 영광 / 이문열 / 민음사 / 2008년 01월 02일 / 2021.07.17 우리가 한 번쯤 들어봤을 만한 호걸들이 하나 둘 무대에 들어선다. 가장 먼저 일어선 초나라는 궤멸하고, 다른 집단(?)이 초나라 왕족의 후손을 찾아 다시 ㅊ초나라를 세운다. 진나라 조정의 환관 세력은 철저하게 2세 황제의 눈과 귀를 가리고, 유방과 항우는 한 편이 되어 움직인다. 항우는 전쟁터마다 연승하며 조금씩 세력을 키우고, 유방은 삼국지의 유비가 그러하듯이 유한 정책으로 세를 불린다......라고 하면 맞는 이야기일까? 처음부터 유방과 항우가 맞섰던 게 아니라 처음에는 서로 경계를 하면서도 협력하는 관계였다. 2021. 7. 19. 초한지 2 : 바람아 불어라 2021_08 이문열의 사기 이야기, 초한지 2 : 바람아 불어라 / 이문열 / 민음사 / 2008년 01월 02일 / 2021.06.06.30 1편이 중국 고대사의 개괄에 가깝다고 한다면 2편은 익히 알고 있는 주요 등장인물이 나온다. 항우와 유방이다. 진나라에 의해 패망한 유민으로 숨어서 신분을 노출시키지 않고 지내는 많은 사람들이 등장한다. 진나라는 전국을 통일하고 나서 지금도 범인으로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일들을 전개한다. 오랑캐를 막기 위해 만리장성을 쌓고, 물자를 교역하기 위해 운하를 건설한다. 내세의 삶을 믿었는지 아니면 불로초를 구하는 게 불가능하다는 걸 깨우쳤는지 죽어서도 영화를 누리기 위한 거대 무덤을 만든다. 진 시황은 요샛말로 순방을 하다가 병을 얻어 객사를 하게되는데, 이때 중국 무.. 2021. 7. 10. 초한지 1 : 짧은 제국의 황혼 2021_07 이문열의 사기 이야기, 초한지 1 : 짧은 제국의 황혼 / 이문열 / 민음사 / 2008년 01월 02일 / 2021.06.19 중국의 3대 기서(?)가 있다면, 서유기, 삼국지 초한지라는 말이 있다. 어렸을 때 스포츠 신문에 연재되던 고우영의 초한지를 드문드문 봤던 기억이 있다. 초한지에는 항우와 유방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고 알고 있다. 글자 그대로 초나라와 한나라에 얽힌 전쟁 서사일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1권은 거의 중국 고대사를 망라하는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상나라, 하나라, 은, 주 시대를 거쳐 춘추전국의 시대를 관통하는 서사가 도입부에 흐른다. 책을 읽어도 한 번에 쭈욱 읽는 게 아니라 짬짬이 틈날 때마다 조금씩 읽다보니 전체 흐름이 연결되지는 않지만, 진나라의 탄생과 소.. 2021. 6. 23.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67 다음